본 연구는 한국어 격조사 ;;이/가’와 ;;을/를’의 다양한 기능 교육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더욱 정확하고 적절하게 조사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가’와 ;;을/를’이 가지는 각 기능을 유형화하고, 사용 양상을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추출하였다. 또한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적절한 사용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바탕으로 모형을 구축하고, 그에 대한 효과 검증 실험을 실시하였다.격조사 ;;이/가’와 ;;을/를’은 실제 사용에서 격 표지 기능뿐만 아니라 초점이라는 의미․화용적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한국어교육에서는 형태적․기능적으로 제한된 내용만을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다. 교재에서는 ;;이/가’와 ;;을/를’에 대하여 형태적으로는 체언만이 선행하며, 기능적으로는 통사 층위에서의 격 표지 기능만을 하고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학습자들은 ;;이/가’와 ;;을/를’의 기능에 따라 상이한 사용 양상을 인식하지 못하고 오류를 양산하거나, 조사의 실현 여부를 적절히 판단하지 못하여 어색한 언어를 구사하게 된다.우선적으로 이/가’와 ;;을/를’을 격조사적 기능인 격 표지 기능과 보조사적 기능인 초점 기능으로 구별하고, 초점 기능의 하위 기능을 선택지정, 강조, 신정보로 세분화하였다. 이를 전제로 외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작문에 나타난 ;;이/가’와 ;;을/를’을 분석하고 학습자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양상을 바탕으로 격조사 기능의 교육 내용을 추출하였다.한국어교육의 목적은 단순한 정확성의 측면을 넘어 학습자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한국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에 한국어 격조사 ;;이/가’와 ;;을/를’의 기능 교육을 위하여 추출한 교육 내용은 이해 교육과 표현 교육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제안하여 학습자가 ;;이/가’와 ;;을/를’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 먼저, 학습자들이 ;;이/가’와 ;;을/를’의 다양한 기능과 그 기능에 따른 사용 양상을 인식하도록 하는 이해교육은 유의미 학습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이/가’와 ;;을/를’의 기능을 바탕으로 보조사적 기능으로까지 자연스럽게 확장시키고자 하기 위함으로, 학습자들이 격조사적 기능에 대한 스키마를 확장시켜 스스로 내재화할 수 있도록 인지적 원리에 따른 것이다. 학습자들은 이를 통하여 한국어 격조사 ;;이/가’와 ;;을/를’에는 격조사적 기능만이 아닌 보조사적 기능도 있음을 알게 되며, 각 기능에 따라 ;;이/가’와 ;;을/를’이 나타내는 의미와 해당 조사의 실현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표현 교육에서는 의사소통적 접근법을 바탕으로 말하기 활동과 짝 활동을 병행하여 격조사의 보조사적 기능과 격조사의 생략 판단 여부 등을 실제 상황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이/가’와 ;;을/를’을 격조사로만 알고 있던 학습자들은 한국어 격조사의 기능 교육을 통하여, 의미·화용 층위에서의 초점 기능을 알게 됨으로써 이해의 폭이 확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가’와 ;;을/를’의 의미를 정확히 인식하여, 의도하고자 하는 바를 더욱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각 기능별 사용 양상이 다름을 알고 그에 맞게 격조사의 실현 여부를 판단하여 더욱 원어민에 가까운 수준의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다.이상의 논의는 한국어의 대표적인 구조격조사 ;;이/가’와 ;;을/를’의 보조사적인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외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실제 사용 양상을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방법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지 못하였고 조사 자료의 대상이 문어에 제한되었다는 등의 한계가 있다. 또한 학습자의 국적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범주인 조사임에도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에 따른 조사 사용의 양상을 전반적으로 일반화하지 못하였다. 이를 보완하는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