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교육에서 ;;시적 화자-되기’를 활용한 교수-학습을 제안하고자 한다. 학습자는 시적 화자가 되어 공감함으로써 시적 화자의 발화 내용인 시 텍스트를 풍부하고 생생하게 체험하며, 자기 자신을 돌아볼 수 있다. 이를 ;;시적 화자-되기’라고 규정하고,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현재 한국어 문학 교육에서는 현대시를 학습 자료로 해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학습자들을 수동적인 위치에 놓고 시의 내용을 전달하거나 시어를 학습하는 것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수업이 지루하다고 여기는 등 만족도가 높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참여를 높이고 텍스트와의 연계를 강화하여 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줄 수 있는 활동 중심의 현대시 수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특히 시 텍스트의 발화 주체인 시적 화자를 중심으로 시를 읽고 화자에게 감정이입하거나 거리를 두며 활동하는 것이 학습자 중심의 시적 체험을 심화시킬 수 있는 열쇠라고 여겼다.시 텍스트를 발화라고 볼 때, 시적 화자는 발화의 주체로서 시 텍스트의 성격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시적 화자를 따라가면서 시 텍스트 전체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적 화자-되기’의 요소를 화자의 관점 취하기, 적극적으로 상상하기, 그리고 화자에게서 거리 두기로 제시하였다.그리고 이를 토대로 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학생 5명을 대상으로 1회의 예비조사를 실시한 뒤, 언어 교육원의 고급 학습자 약 20명을 대상으로 네 차례의 본 조사를 실시하여 ;;시적 화자-되기’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은 시적 화자의 정서와 의견을 재현하는 시적 화자 중심의 ;;되기’, 화자와의 대화를 통해 학습자의 상상으로 화자의 정서를 추론하거나 의견을 조정하는 대화 중심의 ;;되기’, 그리고 학습자 자신의 관점으로 화자를 판단하고 자신과 비교하여 자기에 대한 이해와 반성을 하는 학습자 중심의 ;;되기’로 그 양상을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자의 ;;시적 화자-되기’의 특성과 한계점도 살펴보았다.위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하여 ;;시적 화자-되기’를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수-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구안하였다. 먼저, ;;시적 화자-되기’에 적합한 텍스트는 1인칭 화자의 체험을 서술적으로 묘사한 시 텍스트였다. 또한 학습자가 텍스트를 벗어나 자의적인 상상이나 생략을 하지 않도록 시 텍스트의 내용을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언어적 수준이나 성격과 같은 개인적인 요인 등에 따른 학습자의 조건과 교사의 비계(scaffolding) 역할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학습자가 텍스트와 관련을 맺어 화자를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인물로 표상화하고 시적 화자와의 정서적 공유를 통해 시 텍스트 체험을 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자기를 돌아보는 것을 교수-학습의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어 문학교육에서 독자-반응 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안인 발전 모델을 참조하여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시 텍스트를 꼼꼼히 읽음으로써 시적 화자를 파악하고 구체적인 인물로 설정하는 것, 시적 화자의 관점을 취하고 그와의 정서적 공명 가운데 시에 형상화된 화자의 느낌과 경험을 생생하고 빠짐없이 다시 발화하는 것, 그리고 더 나아가 시적 화자와 학습자를 비교함으로써 학습자 자신에 대해 숙고하는 것이다.한국 현대시교육에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수동적으로 시의 내용을 파악하는 수준에서 그쳤다면, 본 연구에서는 그들의 경험을 인정하고 그것을 적극 활용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이 주체적이고도 능동적으로 활동하는 수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것은 시적 화자라는 인물에 주목하여 그의 상황, 느낌, 경험을 상상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보다 풍부한 시적 체험을 하고, 더 나아가 자기를 돌아보는 것에까지 이르도록 이끄는 한국어 문학 수업이 될 것이다. 이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현대시교육에서 시적 화자를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전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교수-학습의 방법적인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