学位论文详细信息
상악 구치부 무치악 치조제 부위의 고경과 폭경
상악 구치부;치조제 부피;CBCT;상악동 거상술;617
치과대학 치의학과 ;
University:서울대학교 대학원
关键词: 상악 구치부;    치조제 부피;    CBCT;    상악동 거상술;    617;   
Others  :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131038/1/000000017527.pdf
美国|英语
来源: Seoul National University Open Repository
PDF
【 摘 要 】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 구치부 무치악부위의 저작능 회복을 위한 임플란트 식립 시에 잔존 치조제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Cone-beam CT(CBCT)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고, 실제 사용된 수술법과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상악 구치부 임플란트를 시술할 목적으로 CBCT 영상을 촬영한 117 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는 67명, 여자는 50명이었으며, 환자의 평균나이는 남자 50.4±10.4세, 여자는 53.1±12.3세였다. 상실된 상악 구치의 수복 예정 치조제 부위를 관심 단면으로 설정하고, 각 관심 단면에서 치조정으로부터 상악동저까지의 장축 방향 거리를 치조제의 고경으로 측정하였다. 치조정으로부터 상악동저까지 고경을 1mm 간격으로 분할하여, 각 단계마다 치조제 폭경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치조제의 고경은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 부위에서 각각 평균 12.58, 9.63, 5.79, 5.92 mm였으며, 37.5, 64.0, 81.2, 88.8%의 부위에서 고경이 10 mm 이하로 측정되었다. 치조정으로부터 3 mm 상방에서 측정된 폭경은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 부위에서 각각 7.48, 8.13, 10.19, 11.50 mm이였으며, 25, 19, 2, 1%의 부위에서 폭경이 6 mm 이하로 측정되었다. 또한 부족한 부피로 인해 골증대술을 시행한 대구치 부위는 83.3%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상악 무치악 부위의 임플란트 식립시에는 많은 경우에 부족한 골 부피를 극복하기 위한 골증대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임플란트 치료계획 시에 CBCT 영상 촬영 등을 통한 사전의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골증대술이 시행된 상악 구치부위의 부피변화에 대한 장기간의 결과를 추적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预 览 】
附件列表
Files Size Format View
상악 구치부 무치악 치조제 부위의 고경과 폭경 944KB PDF download
  文献评价指标  
  下载次数:0次 浏览次数:1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