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들의 고학력화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여성의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은 결혼, 임신, 출산 및 자녀육아의 문제 등으로 연령대의 증가에 따라 크게 감소하다가 40대 초반부터 다시 증가하는 M자형 패턴을 보이고 있다. 저출산 시대에 고학력의 여성 노동력은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소중한 자산이자 국가․사회적으로 관리하여야할 중요한 자원임에도 여성의 임신·출산·육아는 여전히 여성․개별 가정․근로자 개인의 사적문제로 여겨져 왔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여 자녀 양육 및 저출산 문제를 사회·국가적으로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고, 저출산 시대를 맞아 일과 가정의 양립 문제를 국가·사회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공무원 사회 및 공공기관을 위주로 일과 가정의 양립을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정책을 선도적으로 이끌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민간영역으로까지 확대하려고 하고 있다.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가정 양립정책중 대표적인 것이 유연근무제도인데, 이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함으로써 노동시장 참여를 확대시키고 국가적으로 실업 및 저출산 문제의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유연근무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기대와는 달리 유연근무제의 실제 이용률이 당초 정부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이의 원인으로 여러 선행연구에서는 ;;동료들과의 인간관계’, ;;업무의 타인 전가’ 및;;근무평가․승진 등 인사상의 불이익 우려’ 등을 지적하고 있다.본 논문에서는 유연근무제 활성화의 저해요인으로 지적된 여러 요인 중 ;;근무평정’ 불이익 우려가 실제로 발생하는지를 사례를 통해 검증해 보고, 또한 검증 결과와 유연근무제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이용하여 유연근무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연구결과 유연근무제 활용경험은 근무평정에 불이익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연근무제 활용수준과 근무평정 간에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타 논문들에서 유연근무제 활용 시 주요 우려되는 점으로 꼽은 근무평정 불이익이 실제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다음으로 유연근무제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보면, 유연근무제에 대한 만족도 및 호감도 조사에서 경험자의 만족도가 미경험자의 호감도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관리자들은 유연근무제에 대한 경험도가 높을수록 업무효율성이 향상된다고 조사되었는데, 유연근무제에 대한 직접경험이나 부하직원을 통한 간접경험이 있는 관리자는 유연근무제의 활용이 업무효율성과 직무성과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반면, 직․간접 경험이 전혀 없는 관리자는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유연근무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개선을 위해서는 유연근무제에 대한 직․간접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연근무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첫째, ;;유연근무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개선”, 둘째, ;;유연근무제 유형의 다양화”, 셋째, ;;관리자에 대한 유연근무제 활용 의무화”, 넷째, ;;유연근무제 추진 목적에 대한 단순 명확화”, 다섯째, ;;경직된 조직문화의 혁신”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선행논문에서 유연근무제 활성화의 저해요인으로 꼽힌 여러 요인 중;;근무평가․승진 등 인사상의 불이익 우려’에 대해서만 실제자료를 바탕으로 검증하여 보았을뿐, 다른 나머지 저해요인인 ;;동료들과의 인간관계’, ;;업무의 타인 전가’에 대해서는 다루지를 못하였다. 유연근무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저해요인에 대한 해소가 필요한데, 향후에는 ;;동료들과의 인간관계’, ;;업무의 타인 전가’ 문제가 실제로 발생하는지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