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 적치과 영역의 임상진료에 있어 치아의 수복은 많은 관심과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진료이다. 치아 수복의 궁극적인 목적은 치아의 고유 기능인 심미, 저작, 발음 등을 질환의 발생 전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이상적인 수복이 이루어 졌을 경우 치아의 고유기능을 모두 회복할 수 있겠지만, 전치부의 경우에는 환자나 치과의사에게 있어 특히 심미적인 기능회복이 중요한 목표가 될 수 있다.전치부 수복에 있어 심미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다양한데, 통상 객관적인 지표를 통해서가 아닌 환자와 술자의 주관적인 기준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이유로, 주변 치아나 잔존 치질 외에도 심미적이면서 자연스러운 치아의 수복을 위해서는 참고할 만한 객관적 지표의 다양한 확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나 무치악 환자에 있어 주위 치아 색과 같은 기준이 없을 경우에 하나의 객관적인 지표를 마련하고자, 개인별 피부색과 건강한 치아의 색상 사이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여 조화를 이룰 것이라는 가정하에 이 둘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수복물의 색상을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지표로서 활용하고자 이번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2. 방 법서울 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는 25-36세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악 좌,우 중절치 색상과 이마, 양측 뺨, 양측 팔 안쪽의 색상을 측정하여 총 치아 80개와 피부 200군데의 색상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사전에 이번 연구에 적합한 지를 먼저 확인 하였다. 전치부가 근관치료 받았거나 수복으로 인해 전치부 색상이 변화한 경우는 제외되었다. 3. 결 과피부간의 L*, a*, b*값을 보면, L* 값의 경우 부위 별 간에 서로 상호관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a*값의 경우에는 glabella와 risorius 부위의 a* 값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inner arm과 risorius의 a* 값은 서로 상관관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b*값의 경우에는 glabella, risorius, arm 부위 모두 서로 연관성이 떨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치아와 피부간의 L*, a*,b*값의 상관 관계를 통계 분석해 보면, 치아의 L*, a* 값과 다른 피부부위의 L*, a*값 과는 서로 상호 연관성이 약했고, 치아의 b* 값과 arm 부위의 b* 값은 높은 상호 연관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이를 토대로 치아의 b* 값과 팔 안쪽 피부의 b* 값이 서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더 명확한 관계식을 얻고자 회귀 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관계를 보였고 회귀분석 식을 얻게 되었다.B_teeth = -0.523 * b_arm + 18.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