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직구조의 분권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서 조직성과를 주요사업을 추진함에 따라 국민의 편익을 증진하는 공익적 성과와 부채비율의 증가 또는 감소라는 재무적 성과로 구분하고 조직구조의 분권화가 공익적 성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재무적 성과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현재 정부의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이 부채감축에만 지나치게 몰입된 나머지 공기업이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의 양적인 축소나 질적인 저하 등과는 관련성이 없을까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으며 조직구조의 분권화를 선행연구와 달리 설문 등이 아닌 객관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분권화의 측정을 위한 하위지표로서 전체 결재건수 중 실무진의 결재비율을 권한위임정도로 그리고, 전체 인력 중 사업부서 인력의 비율을 자원배분정도로 정의하였다.분석결과 의사결정권한 위임정도가 높아질수록 부채비율이 올라갈 것이라는 가설은 전체 공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사업부서의 인력비율을 늘리는 것은 부채비율을 덜어뜨려 재무적 성과 향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결국 권한위임을 집권화하고, 사업부서의 인력비중을 늘리는 것이 부채비율을 떨어뜨리는데 유요한 정책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즉 경영평가, 정부지침 등에서 지속적인 권한위임에 대한 강조는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부채감축계획 달성에 있어서는 반대의 결과가 도출될 수 있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반대로 사업부서의 인력비중을 늘리라는 정부지침은 부채감축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