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분만은 산과영역에서 비교적 흔하게 시행되는 술기이며, 그 시행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유도분만을 시행하는 임부는 유도분만에 대한 위험성이나 필요성 등에 대한 인식 없이 의료진의 결정에 의해 그 과정을 따르게 되는 경우가 많고,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 없이 여러 가지 처치들을 받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주체적이지 않은 분만은 여성으로 하여금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한다. 하지만 유도분만을 시행한 산모를 대상으로 분만만족도를 조사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며, 유도분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유도분만에 관련된 연구들은 새로운 약제의 효과 등을 비교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유도분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유도분만을 시행하는 산모의 분만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시 소재 한 개 종합병원에 분만을 목적으로 입원한 정상질식분만이 예상되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4년 9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총 유도분만 군 113명과 자연분만 군 61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설문조사는 분만 후 12시간~48시간 이내의 산모를 대상으로 입원병동에서 실시하였다. 분만만족도는 Hodnett과 Simmons-Tropea (1987)가 개발한 Labour Agentry Scale (LAS)를 통해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1.1 통계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그리고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분만진행과정 중 유도분만 군과 자연분만 군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변수는 초임부의 분만 1기 소요시간, 진통제 사용 유무, 자궁과자극 발생 유무, 태아곤란증 발생 유무와 임부에게 의료적 처치 시행 여부였다. 2) 분만결과 중 유도분만 군과 자연분만 군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변수는 분만형태, 분만 후 합병증 발생 유무였다.3) 유도분만 임산부의 분만만족도는 평균 42.06점±7.95이었으며, 자연분만 임산부는 평균 42.61점±7.90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4) 유도분만 임산부들은 주로 분만진행과정(분만소요시간, 태아곤란증 발생 유무, 의료적 처지 시행)에 의해 분만만족도가 영향을 받는 반면, 자연분만 임산부들은 주로 분만결과(분만형태, 신생아결과)에 의해 분만만족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5) 유도분만을 시행한 임산부의 경우, 유도분만 결정과정에서 본인의 의견이 반영되었다고 느끼고, 분만 전에 유도분만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가 있었으며 의료진에 대한 신뢰가 있었을 때에 분만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6) 유도분만 시행한 임산부 중 71.7%가 유도분만을 하길 잘했다고 답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아기가 건강하게 태어났으므로” 가 42.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분만 후 나의 몸 상태에 만족하므로” 가 26.9%로 나타났다. 7) 유도분만 시행한 임산부 중 14.2%가 유도분만을 하지 말았어야 한다고 답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예상했던 것보다 분만소요시간이 길어서” (33.3%), ;;진통이 너무 심했기 때문에” (29.6%),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없었고, 의료진이 하라는 대로만 해야 했기 때문에” (14.8%)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의료진은 유도분만에 대한 의학적 적응증과 유도분만 시 모체와 신생아가 갖는 위험, 그리고 자연분만을 기다림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갖고 유도분만 시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여성은 자신의 분만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때에 긍정적인 분만을 경험하게 되므로 간호사들은 분만의 주체인 여성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여성은 자신의 분만에 대한 통제감을 느끼고 긍정적인 분만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