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들이 실제로 주고받은 한국어 이메일을 공손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한국어 이메일은 학습자들이 비교적 자주 접할 수 있는 쓰기 장르이다. 격식 있는 한국어 이메일을 공손하게 작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면대면 대화와 달리 이메일에서는 말투, 표정, 몸짓 등 보조 장치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표현에 주의하지 않으면 공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더욱 신중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이메일을 공손하게 작성하는 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 주요 원인으로는 한국어 이메일의 공손 표현에 대한 교육의 부재와 모국어의 영향을 들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이메일 공손 표현 지도를 위하여 관련 이론 연구를 정리하였고, 이 중 먼저 공손의 개념 및 의의를 탐구하였다. 공손의 개념은 ;;발신자가 자기 낮춤이나 타인 높임의 의도에서 출발하여 특정한 원리(공손 원리), 사회적 규범 및 의사소통 상황과 대상에 따라 적절한 언어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의사소통 참여자로 하여금 제대로 존중받고 있는 믿음을 갖게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어서 한․중 공손 표현의 특성을 비교 대조하였다. 한․중 공손 표현은 높임법과 공손 표현에 내포된 공손 문화(지위 및 나이 차이로 인한 불평등 정도, 예사 어휘에 대한 관용(寬容) 정도, 돌려서 표현하기에 대한 선호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비교 대조를 통해 한국어 공손 표현의 복잡성, 엄격성 및 돌려서 표현하기에 대한 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이메일의 공손 표현을 크게 구성적, 문법적 및 화용적 측면으로 분류하였다.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이메일에 나타난 공손 표현 양상을 기술하고 부적절한 공손 표현 사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구성적 측면은 다시 구조, 제목, 호칭, 인사, 서명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구성 요소의 부적절한 생략이나 부적절한 사용은 이메일의 구성적 공손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문법적 측면에서는 어휘 차원을 존경 어휘와 겸양 어휘로 구분하고 그 사용 양상과 부적절한 공손 표현(미사용, 오용, 남용)을 분석하였다. 형태 차원에서는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으)시-’의 사용, 미사용, 부적절한 첨가 및 사물 공대 문제를 다루었다. 문장(상대 높임 종결어미) 차원에서는 수신자를 [윗사람+, 친밀도+], [윗사람+, 친밀도-], [윗사람-, 친밀도+] 및 [윗사람-, 친밀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문장의 부적절한 사용 유형은 주로 종결어미의 결여와 부적절한 등급의 종결어미 사용이었다. 화용적 측면의 공손 표현은 공손 장치 차원 및 기타 주의 표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공손 장치 차원에서는 주로 간접 화행, 완화 표현, 강화 표현, 겸손 표현 및 모호화(생략) 표현으로 분류하여 이들에 관한 사용 양상과 부적절한 공손 표현을 살펴보았다. 이 중 강화 표현을 제외하고는 모두 공손 문제가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기타 주의 표현으로는 오해를 일으키기 쉬운 표현, 지나친 구어체 표현, 이모티콘 문제, 문장부호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격식 있는 한국어 이메일에 초점을 맞추어 공손 표현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구체적으로 구성적, 문법적, 화용적 공손 표현의 순으로 총 세 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공손 표현에 내포된 공손 문화 역시 하나의 교육 내용으로서 함께 교수․학습하였다.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학습자들이 실제로 주고받은 한국어 이메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다루는 공손 표현은 특정한 화행이나 상황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화행과 다양한 상황을 비교적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실제로 다양한 한국어 이메일을 작성할 때 더욱 유용할 것이다. 셋째, 한국어 이메일의 공손 표현에 관한 중국인 학습자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중 공손 표현 및 그에 내포된 공손 문화를 비교 대조하였다. 이러한 한․중 공손 표현 및 공손 문화 차이를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인지시킨다면 한국어 공손 표현의 효과적인 습득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