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테크놀러지를 활용하면 누구나 쉽게 인터넷이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자신 스스로를 위한 컨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다. 고학년에서 저학년 학생들에게까지 널리 활용되는 1인 미디어의 광범위한 활용이 그 대표적인 예가 된다. 이러한 현상은 지금까지 교수・학습매체의 제작 및 활용에 관한 연구가 주로 교수자 제작 자료를 중심으로 실시되었던 것에 더하여 학습자 제작 자료의 교육적 활용 관점에서의 연구의 필요를 야기시킨다.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위해 디지털 자료를 제작할 때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효과들을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가 직접 디지털 자료를 제작할 경우 학습자의 1)인지적, 2)정의적, 3)기술 통합 교육적 측면에서 어떠한 효과가 나타나는 지에 대해 살펴았다.이 연구는 질적 연구의 방법을 택하였으며 학습자에게 스스로가 사용할 자료를 제작하게 하고 그 과정을 관찰하고 그 자료 제작의 이전과 이후에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도시 고등학교의 학생 다섯 명이었다. 이들의 과제는 1036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영문텍스트를SPAT(Still Picture Audio Text)포맷의 디지털 자료로 제작하는 것이었다. 연구자는 이들을 대상으로 디지털자료를 제작하기 이전과 이후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그 인터뷰 결과는 전사되어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서 연구자를 포함한 세 명의 코더가 코딩을 하고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인지적인 측면, 정의적 측면, 그리고 기술통합적 측면으로 나누어 기술되었다. 인지적 측면에서는 메타인지전략 및 시각지능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가능성을 탐색 할 수 있었다. 메타인지적인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1)디지털 자료를 제작을 위한 초기 전략의 수립, 2)자신이 읽은 내용이 정확한지에 대해 스스로 질문하는 강화된 자기관찰, 3)주어진 자료에 대한 단락과 단락, 단어와 단어와의 관계에 대해서 천천히 그리고 꼼꼼하게 학습하는 슬로러닝(slow learning)의 양상, 4)디지털 자료를 제작하는 과정은 타인에게 자신이 만든 디지털 자료를 제시해야 한다는 인식 속에서 타인이 어떻게 자신이 만든 자료를 이해할 것인가 또는 이를 넘어서 어떻게 쉽고, 재미있게, 정확하게 이해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즉각적 자기평가 등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시각지능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는 1)주어진 자료를 독해하는 과정 이전에 텍스트의 단락이나 그림을 통해 제작해야하는 디지털 자료의 슬라이드 수를 계산하거나 편집 점을 고려하는 등의 해석적인 능력, 2)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것을 그래프로 표현하거나 논리적인 관계를 글이 아닌 그림으로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조작적 능력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지적 능력들은 자료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학습내용에 대해 보다 깊은 학습을 한 결과로 해석되었다. 정의적인 측면에서는 자기효능감의 측면에서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자신이 제작한 디지털자료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보는 뿌듯함으로 표현되는 자기효능감의 증진과 아울러 제작된 디지털 자료가 언젠가는 타인에게 보여지게 될 것이라는 평가에 대한 부담감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서 향후의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통합교육의 측면에서는 분산인지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디지털 자료의 제작을 통해 주어진 컴퓨터 활용환경을 넘어서서 하이퍼링크의 기능을 활용하거나 녹음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하는 등의 분산인지활용이라는 특성을 나타냈으나 반면에 다양한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인지부하 및 피로도도 나타내었다.연구결과에 비추어 학습자가 스스로 디지털 자료를 제작한다는 것의 시사점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지금까지 교수자의 관점에서 제시된 교수・학습매체 제작의 원리 및 전략이 학습자의 관점에서도 새롭게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디지털 자료의 제작은 시각지능의 활용과 긴밀히 연관되는 특성을 지니는 만큼 학습자의 인지적 부하를 조절하면서 교육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서 제안하였다.주요어: SPAT, 디지털 자료, 메타인지, 시각지능, 자기효능감, 분산인지, 인지부하학번: 2016-21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