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개인 차원 및 환경 차원의 대사증후군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직장기반 식생활중재프로그램을 개인 차원과 환경 차원으로 통합적으로 실시하고 대사증후군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식생활중재프로그램을 서울시 소재 일 개 사업장의 직원 중 본 연구에 참여 동의를 하고 사전검사에 참여한 104명을 대상으로 2014년 6월부터 8월까지 총 10주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체중, 허리둘레 등을 포함한 신체계측과 혈압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당화혈색소 등을 포함한 혈액검사와 일반 특성, 식생활 실태 등을 포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자의 허리둘레, 혈압,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당화혈색소를 포함하는 5개 항목 중 3가지 이상 항목에서 정상범위를 벗어나거나 허리둘레를 포함한 2가지 항목에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대상자를 대사증후군 고위험군(n=41)으로 선별하였다. 나머지 인원은 대사증후군 저위험군(n=63)으로 명명하였다. 소그룹 영양교육과 1:1 영양상담에 참여를 희망하는 고위험군(n=33)을 대상으로 개인 차원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대사증후군 관리’, ;;고혈압 관리’, ;;이상지질혈증 관리’의 내용으로 소그룹 영양교육을 3회 실시하였으며, 1:1 영양상담을 영양관리과정에 기반하여 3회 실시하였다. 고위험군을 포함한 전체 대상자를 위한 환경 차원의 중재로서 직원식당과 사내 매점의 식환경을 개선하였다. 식단 및 레시피 개선, 식사시간 조절도구 비치, 열량에 따른 상차림 모형 제시, 샐러드용 드레싱 열량 정보표시, 건강포스터 게시를 통하여 직원식당의 식환경을, 판매음료에 대한 영양정보를 담은 고지물 게시를 통하여 매점의 식환경을 개선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 참여자 중에서 여성, 사후검사 미실시자, 프로그램 미완료자를 제외한 후, 대사증후군 고위험군(n=17)과 대사증후군 저위험군(n=20)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후에 고위험군의 체중(81.2 kg vs. 79.2 kg), 체질량지수(26.8 kg/㎡ vs. 26.2 kg/㎡), 허리둘레(94.7 cm vs. 91.3 cm), 수축기 혈압(132.3 mmHg vs. 125.6 mmHg), 이완기 혈압(85.2 mmHg vs. 76.1 mmHg), HDL-콜레스테롤(46.6 mg/dL vs. 51.4 mg/dL), 당화혈색소(5.8% vs. 5.5%)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고위험군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수는 평균 2.9개에서 1.4개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바람직한 식생활 실천점수도 10점 만점의 평균 4.2점에서 6.5점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저위험군의 경우,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액지표, 신체계측치, 혈압측정치 및 바람직한 식생활 실천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유의적으로 변화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1년 후, 추적조사가 가능한 고위험군 5명의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종료 1년 후의 신체계측치, 혈압치, 혈액지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종료 1년 후의 고위험군의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HDL-콜레스테롤, 당화혈색소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수행한 개인 차원과 환경 차원의 중재를 동반한 10주간의 직장기반 식생활중재프로그램은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은 남성 직장인의 대사증후군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고위험군을 분류하여 개인 차원과 환경 차원의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관련 연구 수행 및 중재프로그램 실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