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중국·대만·조선족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교과서를 비교함으로써 각 교과서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고 도구적인 접근에 있어서 더 합리적인 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교과서 특징을 분석한 연구들을 검토하고 이에 해당하는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다음 중국·대만·조선족 미술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했다. 그리고 교과서를 단원과 작품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단원 분석에서는 각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영역 중국과 조선족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영역은 조형 표현, 디자인 응용, 감상 평가, 종합 탐구 등 네 가지이며 대만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영역은 탐구와 표현, 심미와 이해, 실천과 응용 등 세 가지이다.을 기준으로 분석했고, 작품 분석에서는 장르별(회화, 공예, 조소, 건축, 디자인, 기타)로 분류하여 작품 구성을 살펴보았다. 그 외에도 각 교과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개별적인 작품을 선별했고, 이를 텍스트와 결합하여 작품 속에 내재하는 교육적 의미와 의도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학자들이 제기한 미술교과서와 미술교육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중국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므로 중국의 다민족 사회적 특징을 반영한 ;;다원일체화교육론(多元一体化教育论)’을 살펴보았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것이므로 Ⅲ장에서는 세 가지 교육과정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어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제시한 내용들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반영 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Ⅳ장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영역을 기준으로 교과서의 단원들을 분리하여 교과서 구성 체계의 특징을 분석했다. 다음 장르별로 나누어 작품들을 분류하여 교과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했고, 어떤 교육적 의도가 나타났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에 실린 작품 중 개별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작품들을 선별하여 각 교과서마다 어떤 교육적 방침을 나타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세 가지 교과서의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중국 미술교과서와 조선족 미술교과서는 학기별로 다루는 주제가 비슷하며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내용의 난이도가 상승한다. 또한 여러 장르에서 회화의 기능적 역할에 집중하여 교육을 실행하고 있다. 대만 미술교과서와 중국 미술교과서의 공예품의 작품 소개에 있어 자국의 공예품이 외국의 공예품에 비해 훨씬 더 많이 소개했다. 각 교과서의 개별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중국 미술교과서는 80년대 이전에 제작된 사회주의 혁명을 소재로 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현대회화를 소개했으며, 당대(當代) 미술 시장에서 인정받으며 활발하게 활동하는 작가들의 작품은 적었다. 대만 미술교과서에는 작품 감상의 이해적인 측면을 넘어 문화적 차이에 대한 소통을 지향하는 교육적 의도가 내재하며 미술의 창의성 교육을 강조한다.조선족 미술교과서에는 중국 미술 문화와 중국 역사를 반영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선족의 문화적 특징을 나타내는 작품이 적었고 특히 조선족 역사를 다루는 내용은 찾기 어려웠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중국·대만·조선족 세 가지 미술교과서의 특징을 함께 분석한 것에 의미가 있으며, 분석을 통해 현행 미술교과서의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차기 미술교과서의 개발에 참조 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