学位论文详细信息
The role of β-catenin in IL-6 production via NF-κB pathway in macrophages
β-catenin;NF-κB;Macrophage;IL-6;610.72
의과대학 의과학과 ;
University:서울대학교 대학원
关键词: β-catenin;    NF-κB;    Macrophage;    IL-6;    610.72;   
Others  :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161545/1/000000157813.pdf
美国|英语
来源: Seoul National University Open Repository
PDF
【 摘 要 】

서론: 베타카테닌은 세포에서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에 기여한다. 최근 연구들은 베타카티닌이 염증상태에서 사이토카인 생산에 가장 중요한 경로 중 하나인 NF-κB 경로와 상호작용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에서는 NF-κB 경로에서 베타카테닌의 역할을 알아내고, 베타카티닌이 없음으로 인해 궁극적으로 IL-6 생산에 일어나는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골수에서만 특이적으로 베타카테닌이 발현되지 않은 conditional knockout 마우스를 얻었고, 염증상태에서 자극된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된 중요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IL-6의 수치를 골수 유래 대식 세포 및 복강 대식세포에서 조사하였다. 방법: 베타카테닌이 대식세포에서 발현되지 않은 마우스를 얻기 위해, β-catenin floxed 마우스를 LysMcre transgenic 마우스와 교배 시켰다. 베타카티닌이 골수 유래세포에서 발현되지 않은 마우스의 유전자를 확인 및 분석하고, 이 마우스의 다양한 면역 세포의 구성을 일반 마우스와 비교 및 분석했다. 확인된 Ctnnb1∆myeloid 마우스를 이용하여 골수 유래 대식세포와 복막 대식세포를 쥐에서 분리하여 균의 지질다당류로 자극을 준 후 Ctnnb1이 발현되지 않은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 된 IL-6의 수치를 측정했다. 또한, 마우스에게 균의 지질다당류를 복막으로 주사 시킨 후 Ctnnb1∆myeloid 마우스의 혈청 IL-6 수치를 측정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우스의 복막 대식세포에서 IL-6 사이토카인을 만들어내는데 중요한 전사인자 NF-κB p65 및 IκBα의 레벨을 immunoblot으로 분석했다.결과: 베타카테닌 녹아웃은 골수 및 림프구 세포의 발달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Ctnnb1∆myeloid 마우스와 일반마우스 사이의 골수면역 세포의 절대적 숫자와 비율은 비슷했다. 베타카테닌이 결핍된 골수 유래 대식세포는 일반 마우스에서 분리된 골수 유래 대식세포와 비교했을 때 형태, 분화 그리고 증식에 큰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균의 지질다당류로 자극 후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 된 IL-6의 수치는 베타카티닌이 결핍된 대식세포에서 8시간대부터 더 높게 나왔다. 그러므로, 베타카티닌이 결핍된 골수 유래 대식세포와 복강대식세포의 IL-6 생산 능력은 일반 대식세포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질다당류를 복강 내로 주사하였을 때, Ctnnb1∆myeloid 마우스의 IL-6의 혈청 수치가 5시간대에서 일반 마우스보다 높게 나온 것을 관찰했다. p65의 활성 수준과 그와 관련된 IκBα 단백질의 인산화 수준도 일반 복강대식세포보다 베타카테닌이 결핍된 복강대식세포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지질다당류로 자극 후 시간이 지날수록 더 오래 지속되는 것을 관찰했다.이러한 결과는 베타카테닌이 IκBα의 인산화 및 p65의 활성 레벨을 간접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암시했다. 따라서 베타카테닌이 NF-κB경로와 상호작용하여 궁극적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IL-6의 생산을 억제한다는 단서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염증 시 대식세포에서 IL-6 생산을 위한 NF-κB 경로에서의 베타카티닌의 역할을 보여줬다. 베타카티닌이 없는 대식세포에서는 지질다당류로 자극이 되면 p65의 활성이 증가하고, 특정 시점에서 IL-6의 수치가 베타카티닌이 있는 일반 대식세포보다 더 증가했다. 이는 베타카티닌이 대식세포에서 외부자극에 노출되고 특정 시점 이 후에 발생하는 항상성 제어 메커니즘에 의한 IL-6 분비 조절을 간접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줬다. 본 연구의 결과는 IL-6 사이토카인이 중점으로 역할 하는 만성 염증 질환이나 질병에서 베타카티닌이 잠재적인 치료 목표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 预 览 】
附件列表
Files Size Format View
The role of β-catenin in IL-6 production via NF-κB pathway in macrophages 1593KB PDF download
  文献评价指标  
  下载次数:4次 浏览次数:20次